본문 바로가기

원천징수 세액 선택, 80% vs 120% 무엇이 더 유리할까?

좋은정보만o 2025. 2. 14.

연말정산이 끝난 후 예상보다 적은 환급액이나 추가 세금 납부로 당황한 경험이 있나요?

원천징수 세율을 조정하면 매달 실수령액을 늘리거나, 연말정산에서 환급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

이 글에서 80%와 120% 원천징수 세율의 차이점과 장단점, 그리고 내게 맞는 최적의 선택 방법을 확인해보세요.

 

1. 원천징수 세액 선택이란?

근로소득자는 매월 급여에서 소득세가 원천징수됩니다.

기본적으로는 100% 세율이 적용되지만, 근로자가 직접 80% 또는 120%로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.

 

  • 80% 선택 → 매달 급여 실수령액을 늘리고, 연말정산 때 추가 세금 납부 가능성 있음
  • 100% (기본값) → 원천징수액과 실제 소득세 부담이 비슷한 수준
  • 120% 선택 → 매달 미리 세금을 더 내고, 연말정산에서 환급 가능성 증가

그렇다면 각각의 세율을 선택할 때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요?

 

2. 80%를 선택하는 경우

1️⃣ 매달 급여 실수령액을 늘리고 싶다면

  • 원천징수액이 줄어들어 월급에서 빠지는 세금이 적어집니다.
  • 실수령액이 많아지므로 자금 활용이 자유로워집니다.

2️⃣ 연말정산 때 추가 납부할 여유가 있다면

  • 연말정산 시 추가 납부 가능성이 커지지만, 이를 감안하고 미리 대비할 수 있습니다.

3️⃣ 소득공제·세액공제가 많아 연말정산에서 추가 납부 위험이 적다면

  • 신용카드 사용이 많거나, 의료비·교육비·주택청약 등 공제 항목이 많아 환급 가능성이 높은 사람에게 유리합니다.

💡 예시
A씨는 자녀 세액공제, 신용카드 공제, 의료비 공제 등을 적극 활용하는 직장인입니다.


그동안 연말정산에서 항상 환급을 받아왔기 때문에 80% 세율을 선택하여 매달 급여 실수령액을 늘리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.

 

3. 120%를 선택하는 경우

1️⃣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추가로 내야 했던 경험이 있다면

  • 매달 조금 더 세금을 납부하여, 연말정산 때 갑작스러운 추가 부담을 피할 수 있습니다.

2️⃣ 연말정산에서 환급을 많이 받고 싶다면

  • 120%로 조정하면 원천징수액이 증가하여, 연말정산 때 돌려받을 확률이 높아집니다.

3️⃣ 추가 소득(프리랜서 수입, 임대소득, 배당소득 등)이 있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한다면

  • 근로소득 외에 추가 소득이 있는 경우,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예상보다 많은 세금을 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.
  • 120% 세율을 선택하면 미리 세금을 일부 납부한 효과가 있어, 종합소득세 신고 시 추가 납부할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💡 예시
B씨는 주식 배당소득과 임대소득이 있어 매년 5월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하는 직장인입니다.


그동안 연말정산 때도 추가 세금을 납부해 왔는데, 120% 세율을 적용하면 원천징수를 미리 많이 해두어 종합소득세 부담을 줄이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

 

4. 원천징수 세율 변경 방법

1. 회사 급여 담당 부서에 요청

  • 원천징수 세율 변경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다음 급여 지급일부터 반영됩니다.

👉 필요시 '소득세 원천징수세액 조정 신청서'를 다운받아 사용하세요.

[별지 제24호의2서식] 소득세 원천징수세액 조정신청서(소득세법 시행규칙).hwp
0.02MB

 

💡 변경된 세율은 다음 급여 지급일부터 적용됩니다.

 

마무리: 80% vs 120%, 내게 맞는 선택은?

추가 납부 없이 매달 급여 실수령액을 늘리고 싶다면?80% 세율 선택
연말정산에서 세금 부담을 줄이고 환급을 받고 싶다면?120% 세율 선택

 

매년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내거나 환급받는 패턴을 파악하고, 미리 원천징수 세율을 조정하면 보다 현명하게 세금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
나에게 맞는 세율을 선택해보세요!

 

 

원천징수세액 선택

 

 

원천징수세액 선택 원천징수세액 선택 원천징수세액 선택

 

댓글